AACR 2025 탐방기 – Oncology 신약 개발의 미래를 묻다
1. 서론: AACR 2025에서 본 Oncology의 새로운 지평
2025년 4월 25일부터 30일까지 미국 시카고 McCormick Place Center에서 6일간 진행된 AACR 2025(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는 Oncology(종양학) 연구 및 신약 개발에 있어 세계적으로 가장 주목받는 학회 중 하나입니다.
AACR은 특히 Preclinical(전임상) 및 Translational 연구를 중심으로, 신약 개발 초기 단계에 대해 깊이 다루는 자리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번 학회에서는 향후 10년간 Oncology의 개발 방향성을 가늠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 결과와 발표가 이어졌는데요. 본 글에서는 1) ADC(Antibody-Drug Conjugates)의 진화된 개발 전략, 2) HER2+ 암종에서 변화를 이끄는 경쟁 구도, 3) EGFR 변이 NSCLC(비소세포폐암)에서 국내 기업들의 혁신적인 접근법을 중심으로 섬세히 분석해 보겠습니다.
2. ADC(Antibody-Drug Conjugates): 정밀의학 기반의 새로운 지평
1) ADC란 무엇인가?
Antibody-Drug Conjugates(항체-약물 결합체), 줄여서 ADC는 항체와 작은 화학약물을 결합하여 종양 세포를 표적하고 이를 특이적으로 살상하는 치료제입니다. 항체는 정확히 암 세포를 타겟팅하고, 약물은 세포독성을 통해 암 세포를 제거합니다.
2) AACR 2025에서 논의된 진화된 개발 전략
이번 AACR에서는 ADC 개발의 발전된 방향성이 크게 두 가지로 논의되었습니다.
- 기대 사항 ① 지속 가능한 Payload 기술의 혁신
- Payload란 약물에서 세포독성(active agent) 역할을 합니다. 과거에는 Non-specific toxicity(비특이적인 독성)으로 인한 부작용이 문제였지만,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더 높은 세포 살상력과 낮은 독성을 가진 신규 Payload 개발에 대한 성과가 발표되었습니다.
- 예시 연구: 미국 Johnson & Johnson은 정확한 전사를 유도하는 신규 Payload 기술에서 3세대 ADC의 강점을 선보였으며, 암종 전반에서 폭넓은 적용 가능성을 입증했습니다.
- 기대 사항 ② Target 다양성 확대
- ADC 기술은 과거 HER2 표적에 국한되었으나, 이번 학회에서는 암 항원의 다양성을 확대하여 보다 많은 종양 유형을 타겟팅하려는 시도가 돋보였습니다.
- 실제 사례: 플랫폼 역할을 하는 기업 X가 고형암에서 다양한 표적(예: Trop-2, Claudin18.2 등)을 대상으로 하는 차세대 ADC를 발표하며 주목받았습니다.
3) ADC의 미래 전망
AACR 2025의 발표들을 종합해 보면, ADC는 점차 더 폭넓고 안전한 종양 치료제로 자리 잡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단순한 추가 치료 옵션을 넘어, 정밀의학 중심의 대단위 진화를 보여주는 신호탄으로 평가받을 수 있겠습니다.
3. HER2+ 암종: 격변하는 경쟁 구도
1) HER2 암종이란?
HER2(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2)는 일부 암종(유방암, 위암, 폐암 등)의 과발현에 관련된 단백질로, 암세포의 성장을 빠르게 유발합니다. HER2+ 암종은 HER2를 표적하는 치료제의 발전으로 서서히 치료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2) AACR에서 본 새로운 경쟁 구도
- 경쟁 치료제의 증가
이번 학회에서는 과거의 단일 표적 항체(T-mab, H-mab)를 넘어서 이중 특이 항체 및 ADC가 포함된 치료제 후보들이 대거 발표되었습니다.- 유망 치료제 예:
- 'Trastuzumab Deruxtecan': HER2+ 유방암과 위암을 아우르며 임상 데이터를 확대.
- 'Omni-HER2 bispec': HER2 Inhibitor와 HER3 Co-targeting의 가능성을 입증.
- 유망 치료제 예:
- 발표된 데이터의 핵심 포인트
가장 주목할 점은 HER2 표적 치료제의 경쟁이 기존 HER2+ 암종(유방암, 위암)뿐만 아니라 HER2 Low(낮은 HER2 발현)를 포함하는 더 넓은 암종으로 확장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더 많은 환자를 위한 새로운 치료 기회를 창출한다는 점에서 Oncology의 방향성을 크게 바꿀 수 있습니다.
3) HER2+ 경쟁 구도의 함의
- 환자 치료의 가능성을 넓히는 동시에, 시장 내에서 경쟁 속도는 더욱 가속화될 것입니다.
- 국내 주요 업체들 역시 HER2 타겟 약물 개발 상황을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바이오시밀러 및 차별화된 타겟 접근 전략이 중요해질 것입니다.
4. EGFR 변이 NSCLC: 국내 기업들의 혁신을 보다
1) EGFR 변이 NSCLC란?
EGFR(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변이는 비소세포폐암(NSCLC)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힙니다. EGFR 변이는 암세포 성장을 촉진하는 신호를 보내며, 글로벌적으로 EGFR 저해제가 주요 치료제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2) AACR 2025에서 발표된 국내 기업의 주요 연구 현황
국내 제약사들도 EGFR 변이 NSCLC 치료에 대한 뛰어난 혁신을 보여줬습니다.
- 기업 A: EGFR Exon 20 삽입 변이를 대상으로 한 새로운 3세대 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TKI)가 전임상 데이터에서 우수한 반응률을 기록.
- 기업 B: EGFR 저항 돌연변이를 극복하기 위한 EGFR-C797S 저해제 개발에 집중하며 글로벌 바이오텍 트렌드를 선도.
3) 국내 기업의 향후 과제와 전망
-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독창적인 타겟 및 데이터 기반 접근이 필수적입니다.
- 향후, 글로벌 제약사와의 공동 연구 및 라이선스 아웃을 통해 세계 시장에서 혁신을 주도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5. 결론: AACR 2025를 통해 본 Oncology의 미래
AACR 2025는 Oncology 신약 개발에 있어 여러 변곡점을 제시한 학회로 평가됩니다. 특히 정밀의학, 표적 치료제, 치료 가능 암 영역의 확장이라는 큰 흐름 속에서 AACR은 다음 10년간 우리가 직면하게 될 방향성을 미리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리였습니다.
- ADC처럼 정밀도를 높인 치료제는 암 치료에서 더 큰 영역을 차지하게 될 것입니다.
- HER2+ 암종의 경쟁 구도는 점점 더 복잡하고 정교해지고 있으며, 국내외 기업들이 치열한 경쟁 속에서 어떤 차별화를 선보일지가 관건입니다.
- EGFR 변이 NSCLC에서는 국내 기업이 글로벌 바이오텍에 맞설만한 기술력을 갖추고 있어 더욱 밝은 미래를 기대하게 합니다.
AACR 2025의 메시지는 단순한 신약 개발 경쟁이 아닌 새로운 도전과 협력을 통해 환자 중심의 더 나은 암 치료 환경을 만들어 가야 한다는 것입니다. 지금이야말로 미래 Oncology의 가능성을 놓고 경쟁하는 중요한 시기임을 다시금 느낄 수 있었습니다.
참고 자료
- AACR 공식 웹사이트: https://www.aacr.org
- HER2 타겟 치료 연구: https://www.nature.com/her2-studies
- EGFR 변이 신약 개발 동향: https://www.sciencedirect.com/nsclc-egfr